본문 바로가기
共感/생활정보, 건강

우리나라 사전투표, 언제부터 왜 시작됐을까요? (도입시기, 필요성, 장단점 등)

by 꿈꾸는곰탱이 2025. 5. 26.
728x90
반응형
SMALL

우리나라 사전투표, 언제부터 왜 시작됐을까요? (도입시기, 필요성, 장단점 등)

 

이제는 우리에게 익숙한 선거 풍경 중 하나인 사전투표! 선거일에 바쁘거나, 다른 지역에 계신 분들도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제도인데요.

오늘은 이 사전투표가 우리나라에 언제부터 도입되었고, 왜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사전투표,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우리나라에서 전국 단위 선거에 사전투표 제도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201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부터입니다. 이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전면적으로 확대 실시되었죠.

그리고 우리가 가장 관심을 많이 갖는 대통령 선거에서는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부터 사전투표가 적용되어, 많은 유권자들이 미리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전에도 부재자투표라는 제도가 있었지만, 신고 절차가 번거롭고 특정 대상만 가능했던 반면, 사전투표는 별도의 신고 없이 신분증만 있으면 전국 어디서나 투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변화였습니다.

사전투표, 왜 도입되었을까요?

사전투표 제도가 도입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국민의 투표 편의성을 높여 소중한 참정권을 더 쉽게 행사하도록 돕기 위해서입니다.

1.  투표율 제고: 바쁜 현대 사회에서 선거 당일 하루만 투표가 가능하다면, 생업이나 학업, 개인적인 사정으로 투표권을 행사하기 어려운 유권자들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사전투표는 이러한 유권자들에게 투표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투표율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2.  참정권 보장 강화: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인 참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여 더 많은 국민이 정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죠.
3.  사회적 비용 감소: 선거일 당일 특정 시간에 유권자가 몰리는 현상을 분산시켜 혼잡을 줄이고, 이는 교통 체증 완화 등 사회적 비용 감소 효과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 유권자 편의 극대화: 가장 큰 장점입니다. 선거일에 근무, 출장, 여행 등 개인적인 사정이 있는 유권자도 미리 투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국 어디서나 신분증만 있으면 투표할 수 있어 거주지를 떠나 있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편리합니다.
* 투표율 향상: 앞서 언급했듯이, 투표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가 확대됨에 따라 더 많은 유권자가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여 전체 투표율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 투표 분산 효과: 선거 당일 특정 투표소에 유권자가 몰리는 현상을 완화하여, 대기 시간을 줄이고 보다 쾌적한 투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선거 관리 효율성 증대 (장기적 관점): 투표가 분산됨으로써 선거 당일의 업무 부담을 일부 덜 수 있으며, 사전투표 데이터는 향후 선거 운영 계획 수립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의 단점이나 우려되는 점은 없을까요?

물론, 사전투표 제도에도 몇 가지 단점이나 우려되는 부분이 지적되기도 합니다.

* 투표함 보관 및 관리의 어려움: 본투표일까지 며칠간 투표함을 보관해야 하므로, 보관 과정에서의 보안 및 공정성 시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물론 철저한 봉인과 CCTV 감시 등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 선거운동 기간 사실상 연장: 사전투표 기간에도 선거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후보자 간 과열 경쟁이나 흑색선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는 유권자의 피로감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 정보 비대칭 가능성: 사전투표를 일찍 마친 유권자는 이후에 발생하는 중요한 사건이나 정보(예: 후보자 토론회, 새로운 의혹 제기 등)를 투표 결정에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행정 비용 및 인력 증가: 사전투표소를 설치하고 운영, 관리하는 데 추가적인 인력과 예산이 소요됩니다.

사전투표 제도는 국민의 참정권 확대와 투표 편의 증진이라는 매우 중요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시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몇몇 우려와 개선점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논의와 보완 노력을 통해 더욱 신뢰받는 제도로 발전해나가야 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선거와 투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주어진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것이겠죠? 

 

https://im.newspic.kr/awsXRIF

 

마이크 빼앗고 유세 방해… 김문수 선거운동원 폭행한 40대 구속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거운동원을 폭행하고 유세를 방해한 40대가 구속됐다. 사진은 김문수 대선 후보가 선거유세를 하는 모습. /사진=뉴스1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거운

im.newspic.kr

https://im.newspic.kr/q6NeY3D

 

용산구, 제21대 대선 투표소 혼잡도 정보 제공

사진 = 뉴시스   서울 용산구(구청장 박희영)가 제21대 대통령 선거(본투표 6월 3일, 사전투표 5월 29~30일)를 맞아 유권자들의 편리한 투표를 돕기 위해 '실시간

im.newspic.kr

https://im.newspic.kr/hefkP4s

 

이재명, 광주전남 득표·투표율 90% 달성 관심…투표율이 핵심?

투표율 상승하면 최대 몇십만표 득표 가능성 점쳐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후보[연합뉴스 자료사진] (광주=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2

im.newspic.kr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