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共感/생활정보, 건강

근로자의 날의 의의와 공무원이 쉬지 않는 이유, 그리고 공무원의 날

by 꿈꾸는곰탱이 2025. 5. 2.
728x90
반응형
SMALL

근로자의 날의 의의와 공무원이 쉬지 않는 이유, 그리고 공무원의 날

 

근로자의 날의 의의

근로자의 날(매년 5월 1일)은 노동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며, 근로자의 권익과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된 날입니다. 이는 1886년 5월 1일 미국 시카고에서 노동자들이 8시간 노동제 쟁취와 노동 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총파업 및 대규모 시위를 벌였던 사건을 기념하는 '메이데이(May Day)'에서 유래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23년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노동총연맹' 창립 기념일부터 시작되어 맥을 이어왔으며, 해방 이후 명칭과 날짜가 몇 차례 변경되다가 1994년부터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정하고 유급 휴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이 날은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들에게 적용되는 유급 휴일입니다.

공무원이 근로자의 날에 쉬지 않는 이유

근로자의 날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보호받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유급 휴일입니다. 반면에 공무원은 근로기준법이 아닌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등 별도의 법률과 그에 따른 복무규정의 적용을 받습니다. 공무원의 휴일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르는데, 근로자의 날은 이 규정에 명시된 공휴일이 아닙니다.

따라서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의 적용 대상이 아닌 공무원은 근로자의 날에 쉬지 않고 정상 근무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일부 공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내부 규정이나 재량에 따라 휴무를 실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법적으로 보장된 휴일이 아닌 내부적인 결정에 따르는 것입니다.

반응형


쉽게 말해, 근로자의 날은 일반 사기업 등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을 위한 법정 유급 휴일이며, 공무원은 그 법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쉬지 않습니다.

공무원의 날 존재 여부

공무원의 날은 있습니다. 매년 5월 31일입니다.

하지만 근로자의 날이 근로기준법에 따른 '유급 휴일'인 것과 달리, 공무원의 날은 공무원들의 봉사 정신을 기리고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지정된 '기념일'입니다. 따라서 공무원의 날은 쉬는 날이 아니며, 통상 기념식이나 모범 공무원 포상 등의 행사를 진행합니다.

결론적으로, 근로자의 날은 일반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유급 휴일이고 공무원에게는 해당되지 않으며, 공무원을 위한 기념일인 공무원의 날(5월 31일)은 있으나 이날은 쉬는 날이 아니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https://im.newspic.kr/qLhdeIt

 

근로자의날 택배·학교·병원 문 여나요? 휴무여부는

5월 달력, 근로자의 날 / 네이버 달력 캡쳐  5월 1일 근로자의 날 휴무여부를 두고 누리꾼들의 궁금증이 이어지고 있다.  매년 5월 1일 근로자의 날은 근로자

im.newspic.kr

https://im.newspic.kr/ubjAGXJ

 

육아도 일도 혼자 다 해라, 여성 공무원의 근로자의 날

지방공무원 7급 공채 필기시험 /연합뉴스 근로자의 날에도 출근하는 공무원이 있다. 민간기업 직원은 유급휴일로 쉬지만 시청 공무원은 정상 근무다. 근로자의 날이 ‘근로자’를

im.newspic.kr

https://im.newspic.kr/w7Oxelp

 

남사친에게 라면 먹고 갈래 장난 치다가 당한 여성..

남사친에게 라면 먹고 갈래 장난 치다가 당한 여성   꿀잼/저장소

im.newspic.kr

 

728x90
반응형
SMALL